[수산양식기사] 어류 바이러스병 - 담수어 바이러스병
■ 어류(담수어) 바이러스병 병명 병원체 감염어종 발병 증상 진단 및 대책 전염성 조혈기 괴사증 IHN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연어과 어류 수온 10°C 전후 폐사 체색흑화, 근육·지느러미출혈, 항문 위분변, 근육에 선상·V자 출혈, 신장·비장의 괴사 세포배양, 면역학적 진단법 / 수정란 소독해 유입차단(유효 요오드 25ppm), 사육수온 15~18°C로 올리기 연어과 알파바이러스감염증 급식욕부진, 체형변화, 수면에서 천천히 유영 황색 점액변, 유문수 주변·췌장 부위 점상 출혈, 소량 복수, 심장 창백·파열 관찰 췌장조직 괴사·염증(초기증상) → 심근괴사 → 골격근 변성 → 염증 → 섬유화 산천어 바이러스병 부화 후 30일령 개체에서 전신부종, 출혈, 안구돌출, ..
2024. 3. 6.
[수산양식기사] 어류 바이러스병 - 해산어류 바이러스병
■ 넙치 바이러스병 1) DNA: 림포시스티스병(LCDV.1~3월), 이리도바이러스(RSIV), 바이러스성 상피증생증(FHV) 2) RNA: 버나바이러스(MABV.1~3월), 넙치랩도바이러스증(HIRRV), 바이러스성신경과사증(VNN.6~7월),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VHS,1~3월,9~12월) 병명 병원체 감염어종 발병 증상 진단 및 대책 바이러스성 상피증생증 헐피스바이러스 넙치 자· 치어 단계 수온18~20℃에서 부화 후 30일 이하 어린 넙치 지느러미 상피세포, 이상증식, 복부 함몰, 소화관 위칙, 지느러미 불투명화 수정난 소독(요오드용액 25ppm 15분) 수조·사육기구 소독(차아염소산100ppm) 사육수 자외선 살균 넙치 버나바이러스증 버나바이러스 넙치 치어 수온18~20℃에서 최고 폐사율 두부..
2024. 3. 5.
[나무의사] 수목해충학 / 곤충 구조
곤충의 외부형태곤충은 몸을 둘러싼 체벽 자체가 뼈에 해당되는 외골격 곤충의 일반적인 특징: 머리, 가슴, 배 3부분으로 구성● 머리: 1쌍의 겹눈과 1-3개의 홑눈, 한쌍의 더듬이● 가슴: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 3부분으로 구분. 각 부분에 1쌍의 다리, 가운데가슴과 뒷가슴에 1쌍의 날개 존재소화계, 순환계, 호흡계, 신경계 등의 기관을 갖고 있으며 발육도중 변태 곤충 입의 구조윗입술, 아랫입술, 큰턱, 작은턱으로 구성● 윗입술: 잎을 덮는 판 구조● 큰턱: 먹이를 자르고 씹는 일 담당● 작은턱: 마디 구조로서 음식을 자르고 씹고 입안으로 넣는 역할● 작은턱수염: 마디를 이루는 감각수용기, 음식이 입으로 들어가도록 도와줌● 혀(하인두): 큰턱과 작은턱, 아랫입술에 의해 형성된 입틀..
2023. 12. 17.
미생물 환경 모니터링
미생물 환경 모니터링 물, 공기,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서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 수량, 분포 등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평가하는 과정 이러한 모니터링은 환경의 안전성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의 증가 또는 변화를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 미생물환경모니터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1. 샘플 채취: 공기, 물,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적절한 샘플을 추출한다. 2. 분석: 수집된 샘플을 실험실로 가져가서 미생물의 총 수량, 다양성, 특정 균주의 존재 여부 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PCR, 염색액을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 메타게노믹스(미생물 유전체 분석), 배지를 이용한 성장 배양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된다. 3. 해석 및 평가: 분석된 데이터를 평가하여 환경 내 미생물의 종류와..
2023. 12. 12.
[나무의사] 수목해충학 / 목화진딧물
목화진딧물 학명: Aphis gossypii노린재목 (Hemiptera) 진딧물과 (Aphididae)유시충과 무시충 존재 겨울기주 : 무궁화나무, 부용, 석류나무, 오크라, 목화, 접시꽃여름기주 : 오이, 수박, 참외, 멜론, 고추월동: 겨울기주(무궁화나무 겨울눈 부근)에서 알로 월동4월 중순~하순: 알에서 부화 → 100%암컷약충: 5~8일 후 성충됨간모: 겨울 기주에서 단위생식으로 2~3세대 경과5월 하순~6월 상순: 유시충이 나타나 점차 여름기주로 이동10월 상~중순: 겨울기주로 이동, 산란성 암수출현천적 : 무당벌레, 꽃등에 , 풀잠자리, 콜레마니진디벌피해 양상: 기주 식물의 즙액 빨아먹으며 바이러스병 매개, 감로분비→ 그을음병, 생육저해, 상품가치 저하 현미경을 이용하여 ..
2023. 12. 12.